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관련 안전사항에 대해서 설명드리고 싶어서 이렇게 왔어요!!! 전기는 생활에서 정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인데 이것이 사람에게 좋은 점도 있지만 잘못 알고 사용하면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기도 하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전기설비 : 전기설비라 함은 발전, 송전, 변전, 배전 또는 전기 사용을 위하여 설치하는 기계, 기구, 댐, 수로, 저수지, 전선로, 보안통신선로 등의 설비이다. 단, 특정 다목적댐 법에 의하여 건설되는 댐 및 저수지와 선박차량 또는 항공기에 설치되는 것,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은 제외한다.
절연저항 :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 발생하는 전류에 대하여, 그 절연물에 의해서 주어지 는 저항값. 만일 전압을 부여한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도 전류가 정상 상태로 되지 않을 때에는 절연물이 전하를 흡장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온도, 습도, 흡수 속도 등에 따라 절연 저항의 영향이 달라진다.
전기설비기술기준
제52조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전동기 등 기계 기구를 쉽게 분리하기 곤란한 분기회로의 경우 전로의 전선 상호 간의 절연저항에 대해서는 기기접속 전에 측정한다.
전로 사용전압의 구분 |
절연 저항치(㏁) |
|
400V 미만 |
대지전압(접지식 전로는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는 전선 간의 전압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150V이하 |
0.1 |
대지전압이 150V 초과 ~ 300V이하인 경우 |
0.2 |
|
사용전압이 300V 초과~ 400V미만인 경우 |
0.3 |
|
400V 이상 |
0.4 |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절연저항 값은 최젓값으로 기후 습도 등의 값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기준 값에 근접시 수리를 하는 것이 좋으며, 신설시 절연저항 값은 1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전기설비를사용할 때 절연저항에 대한 이해와 사용 전압에 따른 절연저항을 이해하고 갔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인체저항, 통전경로, 안전전압 등에 대해 (0) | 2020.02.12 |
---|---|
고압전로 및 전동기의 절연사항 (0) | 2020.02.12 |
검전기의 분류 // 검전기의 원리 // 검전기의 형태 (0) | 2020.02.11 |
철도 대형사고를 알아보자 (0) | 2020.02.10 |
열처리의 종류 및 재질 (0) | 202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