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전기기사 시험 필기 및 실기!! 그리고 전기직종 실무면접 관련 전공지식을 설명드리는 시간입니다!!
전기직은 알아야할 내용도 방대하고 전기기사는 기사시험 중 가장 어려운 시험이라고 유명한데요!! 오늘은 그 전공에 대해 세부적으로 들어가는시간입니다!!
1) 굵은 나전선의 저항-캘빈더블 브리지
2) 수천옴의 가는 전선의 저항- 휘이스톤 브리지
3) 전해액의 저항-콜라우시 브리지
4) 옥내 전등선의 질연저항- 메거
1.5, 2.5, 4, 6, 10, 16, 25, 35, 50, 70, 95, 120, 150, 185, 240, 300, 400, 500
1) 뱅크-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덴서의 결선상 단위
2) 수구-소켓, 리셉터클, 콘센트 등의 총칭
3) 한류퓨즈-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단락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
4) 접촉전압- 지락이 발생된 전기기계 기구 금속제 외함에 사람이나 가축이 닿을 때 생체에 전해지는 전압
HV(고압반):파워퓨즈+피뢰기,MOF,COS+TR1, COS+TR2
LV(저압반): ACB, MCCB
1)ACB
AT: 600 AF: 200, 400, 630
AT: 800 AF: 400, 630, 800
AT: 1000 AF: 630, 800, 1000
AT: 1250 AF: 800, 1000, 1250
2)MCCB(배선용 차단기)
AF: 100 AT: 60, 75, 100
AF: 225 AT: 125, 150, 175, 200, 225
AF: 400 AT: 250, 300, 350, 400
LK: 빠짐 방지형 EL: 누전차단기 붙이
ET: 접지 단자 붙이
E: 접지극 붙이
T: 걸림형
H: 의료형
2: 2구 콘센트
3P: 3극 콘센트
A: 물저항기
B: 전류계
C: 싸이클 카운터
ON: 계전기 한시동작 특성시험
OFF: 계전기 최소동작 전류시험
① 개폐기
② 과전류 차단기
③ 전압계
④ 전류계
<시설법>
① 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할것
② 전압계는 각 상의 전압을 읽을 수 있도록 시설할것
③ 전류계는 각 선의 전류를 읽을 수 있도록 시설할 것
5, 10, 15, 20, 30, 40, 50, 60, 75, 100, 150, 200, 300, 400, 500, 600, 750, 1000, 1500, 2000, 2500
<장점>
①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등 기동장치가 불필요하다
② 순시기동으로 점등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③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④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⑤ 전압변동에 의한 수명단축이 없다
<단점>
① 점등장치가 비싸다
② 전압이 높아 기동시 음극이 손상하기 쉽다
③ 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16, 22, 28, 36, 42, 54, 70, 82
15, 20, 30, 40, 50, 60, 75, 100, 125, 150, 175, 200, 250, 300, 350, 400
1)고압: 제 3종 접지공사
2)특고압: 제 1종 접지공사
(1) 전류형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차이점
-전류형인버터 : DC Link 양단에 평활용 콘덴서 대신에 리액터 사용, 인버터부에 SCR 사용
- 전압형인버터 : 출력의 맥동을 줄이기 위해 LC필터 사용, 컨버터 부에 3상 다이오드 모듈 사용
(2) 출력 파형상의 차이점
-전류형인버터 : 전압(정현파), 전류(구형파)
-전압형인버터 : 전압(PWM 구형파), 전류(정현파)
이상으로 전기기사 필기정리, 전기기사 실기 정리 및 전기직 실무면접 정리 포스팅을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15탄!! (0) | 2021.01.05 |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14탄!! (0) | 2021.01.04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12탄!! (0) | 2021.01.02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11탄!! (0) | 2021.01.01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10탄!! (0) | 2020.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