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2탄 시간입니다!! 전기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확인하고 보면 좋은 것들이니 확인하고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앞서 올린 컨텐츠들과 중복이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무부하상태에서 변압기 권수비를 조정하여 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
- 변압기 내부고장 검출
-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손실로 철손과 유전체손등이 있다.
1.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2. 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절연파괴
3. 콘덴서 내의 배선단락
1. 0.2[kW] 이하 일 경우
2. 공작용 또는 호이스트 같이 작업자가 상주하는 경우
3. 전동기내에 유효한 보호장치가 있는 경우
4. 부하 특성상 과부하 우려가 없는 경우
5. 전동기 내부 임피던스가 높거나 기동불능시에도 전동기가 소손될 우려가 없는 경우
6. 4 [kW] 이하에서 취급자가 전류계등으로 상시 감시하는 경우
7. 단상전동기에서 15A(배선용 차단기 20A) 분기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1. 고효율 등기구 채용
2.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3. 슬림라인 형광등 및 전구식 형광등 채용
4. 창측 조명기구 개별 점등
5. 고역률 등기구 채용
6. 적절한 조광제어 실시
7.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을 적절히 병용하여 이용
8.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 채용
9. 등기구의 격등 제어 및 회로 구성
10. 등기구의 보수 및 유지관리
1. 낙뢰
2. 정전기
3. 아크
4. 스파크
5. 합선
6. 용접불꽃
7. 과전류(과부하)
8. 도체접속부 과열
-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정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
1. 콘센트 : 150 [VA/개]
2. 소형 전등수구 : 150 [VA/개]
3. 대형 전등수구 : 300 [VA/개]
- 고체 절연물 내부에 나뭇가지 형태의 방전흔적을 남기는 절연열화 현상
감사합니다.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4탄!! (0) | 2021.09.10 |
---|---|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3탄!! (0) | 2021.09.10 |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1탄!! (0) | 2021.09.10 |
[전기공사] 전기공사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6탄!! (0) | 2021.05.05 |
[전기공사] 전기공사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5탄!!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