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4탄 시간입니다!! 전기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확인하고 보면 좋은 것들이니 확인하고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앞서 올린 컨텐츠들과 중복이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브흐홀쯔 계전기
1. 감지전류 :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수 mA를 넘어 느낄 수 있는 전류
2. 경련전류 :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5~20mA 정도 되어 근육이 경련을 일으켜 스스로 도체에서 뗄 수 없기 되는 전류
3. 심실세동전류 :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수십 mA를 넘어 심장근육이 경련을 일으켜 사망에 할수 있는 전류
- 모선 내부 임피던스가 0이고 부하에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압을 가기는 용량 무한대의 전원
1. 코로나 부식
2. 코로나 소음
3. 코로나 손실
4. 통신선 유도장해5. 소호리액터의 소호능력 저하
1. 복도체 사용
2. 전선의 굵기를 굵게 한다.
3. 가선금구를 개량한다.
1. 무효순환전류 - 병렬운전중인 발전기의 전압의 크기가 다를 경우 무효순환전류가 흘러서 전압의 크기를 서로 같게 한다.
2. 동기화전류 - 병렬운전중인 발전기의 위상이 다를 경우 동기화전류가 흘러 위상을 서로 같게 한다.
3. 고조파 무효순환전류 - 전기자 권선의 저항손이 증가하여 과열의 원인이 된다.
1. 노면 전체에 가능한한 높은 평균휘도를 가지게 할 것
2. 조명기구의 눈부심현상이 적을 것
3. 도로 양측의 보도와 건물의 전면부가 보이도록 할 것
4.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적절할 것
5. 균제도가 좋을 것
1. 1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압은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2. 1선 지락사고시 보호 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다.
3. 변압기 단절연이 가능하고, 변압기와 부속설비의 중량과 가격을 저하 시킬 수 있다.
4. 피뢰기의 책무를 경감시키고 그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1. 지락사고시 병행통신선에 유도장해를 크게 미친다.
2. 지락전류는 저역률의 대전류이기 때문에 과도 안정도가 나빠진다.
3. 지락전류가 매우 커 기기에 기계적 손상을 주기 쉽다.
4. 계통사고의 대부분(70~80%)는 1선 지락사고이므로 차단기가 대전류를 차단할 기회가 많아진다
-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전의 전기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
1.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한다.
2. 접지극을 병렬로 접속한다.
3. 심타공법으로 시공한다
4. 접지봉의 매설깊이를 길게한다.
1. 난연성이 우수
2. 내습, 내진성이 양호
3. 소형, 경량화 가능
4. 전력손실 감소
5.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용이
6. 단시간 과부하 내량이 높다
워너의 4전극법
1. 과부하전류 : 정격전류나 허용전류를 어느 정도 초과하고 계속되는 시간을 생각했을때 자동차단을 필요로 하는 전류
2. 단락전류 : 선간에 임피던스가 적은 상태로 접촉되었을 때 흐르는 큰 전류를 말한다.
1. 엔진기초는 건물기초와 관계없는 장소로 할 것.
2. 발전기의 보수 점검 등이 용이 하도록 충분한 면적 및 층고를 확보 할 것.
3. 급배기가 잘되는 장소 일 것.
4. 엔진 밑 배기관의 소음, 진동이 주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소 일 것
감사합니다.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6탄!! (0) | 2021.09.13 |
---|---|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5탄!! (0) | 2021.09.10 |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3탄!! (0) | 2021.09.10 |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2탄!! (0) | 2021.09.10 |
[전기기사 단답] 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1탄!! (0) | 2021.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