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차단기의 정격전압: 차단기에 인가 할 수 있는 회로의 최대 허용 전압
② 차단기의 정격전류: 정격전압, 정격 주파수 하에서 정해진 온도 상승 한도를 초과하지 않고 차단기에 흘릴수 있는 전류
③ 정격차단전류(단락전류): 차단기의 정격 전압에 해당하는 회복전압 및 정격 재기전압 등 규정 회로 조건 하에서 규정의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상태를 수행 할 수 있는 전류의 한도
④ 정격투입전류: 모든 정격 및 회로 조건 하에서 규정의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 상태에 따라서 투입 할 수 있는 투입전류의 한도
⑤ 정격차단시간: 트립코일 여자에서 소호까지의 시간(계극시간+아크시간)
① 콘덴서 용량은 부하의 무효분 보다 크게 하지 말 것
② 콘센서는 본선에서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차단기 등을 설치하지 말 것
③ 고압 및 특별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설치로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할 경우는 콘덴서회로에 유효한 직렬 리엑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④고압 진상용 콘데서 설치시 벽,천장 등과 1M 이상 이격하는 것이 좋다.
① 고효율 변압기의 개발(몰드변압기, 아몰퍼스변압기)
② 고전압화 되어 권선량 감소
③ 고배향성 규소강판 사용으로 인한 철손의 감소
④ 철심의 권철심화 및 자속 향상
⑤ 절연물의 절연성능 향상에 따라 두께가 감수
⑥ 냉각방식 변경에 따른 소형화
흡습제의 원색은: 청백색
-흡습제는 실리카겔로 원색은 청백색이나 흡습을 하게 되면 분홍색을 띠게 된다.
변압기의 절연유의 열화 방지를 위한 습기제거장치
흡습 호흡기
임의의 한 상이 결상되면 나머지 2대의 변압기는 역 V결선이 되어 과부하로 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접지 하지 않는다.
① 감시기능: 기기의 운전, 정지, 개폐의 상태를 표시하고 이상 발생시 고장 부분의 표시 및경보
② 제어기능: 기기를 수동, 자동의 상태로 변환 시키면서 운전시킬 수 있으며 정전, 화재, 천재지변 등의 이상 발생 시 제어 할 수 있는 기능
③ 계측제어: 전류, 전압, 전력 등을 계측하여 부하 또는 기기의 상태를 파악
④ 기록기능: 계측 값을 일일이 기록용지에 자동 인쇄하여 등록된 데이터를 집계
① 안전성
② 경제성
③ 신뢰성
④ 주변 환경 고려
⑤ 보수 점검 유지
⑥ 조작 및 취급
탭: 과전류 계전기의 최소 동작 전류
레버: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시간
① 모선에서의 선간 및 3상 단락
② 인축의 접촉에 의한 단락
③ 케이블의 절연파괴에 의한 단락
④ 전기기기(변압기) 내부에서의 절연불량에 의한 단락
① 신뢰성
② 선택성
③ 감도
④ 속도
① 접지선의 제거
② 최종확인
③ 점검의 기록
① 설명: 통신선로 혹은 전력선로용 전선을 바닥에 배선하는 경우 바닥에 포설되는 관로로서 600mm마다 인출구를 갖는 강판제의 덕트
② 용도: 중규모 혹은 대규모의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 등에서 통신선 혹은 전력선의 배선용
① aa접점: 차단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은 a접점과 같으나 닫힐 때는 a접점보다 시간적으로 늦게 닫히고 열릴 때는 빨리 열리는 접점
② bb접점: 차단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로되어 있는 것은 b접점과 같으나 닫힐 때는 b접점보다 시간적으로 빨리 닫히고 열릴 때는 늦게 열리는 접점.
① 부하의 속도-토크 특성에 적합할 것
② 용도에 알맞은 기계적 형식일 것
③ 운전 형식에 적당한 정격 및 냉각방식일 것
④ 사용 장소의 상황에 알맞은 보호방식일 것
① 다심케이블의 전선
② 충전전선과 공통 외함에 시설하는 절연전선 또는 나전선
① 지락고장 시 접지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② 지락고장 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 상승을 억제,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벨을 경감
③ 뇌, 아크 지락, 기타에 의한 이상전압의 경감 및 발생 억제
① 백열전등: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한다
② 3상 전원인 경우: 전체 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위상이 120도 가 되도록 접부하고 개개의 빛을 혼합한다.
③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기구: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 하나는 코일을 설치하여 위상차를 발생시켜 점등한다.
①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②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③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④ 난연성, 자기소화성으로 화재의 발생이나 연소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① 부하의 피크 컷 제어
② 부하의 피크 시프트 제어
③ 설비부하의 프로그램 제어
① 과전압 계전기
② 부족전압 계전기
③ 과전류 계전기
① 한류형 퓨즈: 단락전류 차단시에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강제적으로 억제하여 차단하는 퓨즈
② 비한류형 퓨즈: 전류차단시에 소호가스를 아크에 불어내어 차단하는 퓨즈
① 포장퓨즈: 정격전류 1.3배에 견디고 120분내 용단
② 비포장퓨즈: 정격전류 1.25배에 견디고 2분이내 용단
① 수동조작: 직접조작과 원방조작
② 자동조작
-수전점 무효전력에 의한 제어
-수전점 역률에 의한 제어
-모선전압에 의한 제어
-부하전류에 의한 제어
-특정부하 개폐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
이상으로 전기기사 필기정리, 전기기사 실기 정리 및 전기직 실무면접 정리 포스팅을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9탄!! (0) | 2020.12.30 |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8탄!! (0) | 2020.12.29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6탄!! (0) | 2020.12.27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5탄!! (0) | 2020.12.26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4탄!! (0) | 2020.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