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루가 40도

728x90
반응형

설페이션 현상


납축전지를 방전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하여 두면 극판의 황산납이 회백색으로 변하고 내부저항이 대단히 증가하여 충전시 전해액의 온도상승이 크고 황산의 비중상승이 낮으며 가스 발생이 심하게 되며 전지의 용량이 감퇴하고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

설페이션 현상의 원인 


불충분한 충전을 반복하는 경우

방전전류가 대단히 큰 경우

방전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축전지 용량산출에 필요한 조건 


부하의 크기와 성질

예정 정전 시간

순시 최대방전전류의 세기

제어케이블에 의한 전압강하

경년에 의한 용량 감소

온도변화에 의한 용량 보정

축전지 관련 서술형 문제 정리


묽은황산의 농도는 표준이고 액면이 저하하여 극판이 노출돼 있다.조치는? - 증류수(전해액)을 보충한다

충전시 발생하는 가스는? - 수소가스

가스발생시 주의사항은?

환기에 주의하고 화기에 조심할 것

충전이 부족할 때 극판에 발생하는 현상

설페이션(Sulfation) 현상

연축전지 설비의 초기에 단전지 전압의 비중이 저하되고 전압계가 역전하였다.이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 축전지의 역접속

충전장치 고장,과충전,액면저하로 인한 극판 노출,교류분 전류의 유입과대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현상? -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상승 또는 소손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 부동충전방식

(초기고장)전 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한 경우

(우발고장)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 충전전압이 높다.실온이 높다.

전 셀의 비중이 높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액면 저하로 극판 노출)

전해액 변색,충전하지 않고 그냥 두어도 다량으로 가스가 발생한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전해액 불순물의 혼입

부동충전시 전압 구하는 문항

(1) 변전소에 200[Ah]의 연축전지가 55개 설치시

- 부동충전전압은 2.15[V/Cell]이므로,

V = 2.15 x 55 = 118.25 [V]

(2) 무정전 전원 정전시 사용하고 예비전원으로 200[Ah]의 연축전지가 100개 설치시

부동충전전압은 2.18[V/Cell]이므로,

V = 2.18 x 100 = 218 [V]

---------------------------------------------------

, 수변전설비 (CS,클래드식) 2.15 [V/Cell]

UPS 장비등 (HS,페이스트식) 2.18 [V/Cell]

---------------------------------------------------

 

조명 효율


전등효율: 전체소비 전력에 대한 전체 발산광속의 비율

발광효율: 방사속에 대한 광속의 비율

전동기 진동의 원인


회전부의 편심

베어링의 불평등

회전자의 정적 동적 불평형

상대기기와의 연결불량 및 설치불량

에어갭의 회전 시 변동

전동기의 소음


기계적 소음- 베어링의 소음

전자적 소음- 고정자, 회전자에 작용하는 전자기적 기전력에의한 소음

통풍 소음- 냉각팬, 회전자 덕트 등에 의한 소음

접지계통에서 고장 전류 경로


단일 접지 계통

선로-지락점-대지-접지점-중성점-선로

중성점 접지 계통

선로-지락점-대지-접지점-중성선-선로

다중 접지 계통

선로-지락점-대지-다중 접지극의 접지점-중성선-선로

보호계전기 오작동 원인


여자 돌입 전류

고조파

계전기 감도저하

변류기의 포화

감리 설계 변경서


설계 설명서

설계 변경 도면

설계 변경 개요도

계산서

수량 산출 조서

리클로져(Recloser)


-플래시 오버 사고로서 발생시 신속하게 고장 구간을 차단하고 사고점의 아크를 소멸시킨후 즉시 재투입이 가능한 개폐기

콘센트 설치규정


방크기

개수

5cm^2 미만

1

5~10 미만

2

10~15 미만

3

15~20 미만

3

부엌

2

 ZCT (영상변류기)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를 검출하여 지락 계기에 공급

버스덕트의 종류


피더 버스덕트

익스펜션 버스덕트

탭붙이 버스덕트

트랜스 포지션 버스덕트

플러그인 버스덕트

태양광 발전의장단점


<장점

친환경 에너지 이다.

자원이 반영구적이다.

규모에 관계없이 발전 효율이 일정하다.

확산광(산란광)도 이용할 수 있다.

태양이 비추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설치 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하다.

 

<단점

전력생산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된다

설치장소가 한정적이고 시스템비용이 고가이다

초기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다

에너지 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이 필요하다

주상변압기 표준 tap


6600, 6300, 5700

고압 전동기 조작용 배전반


과부족전압 계전기

결상 계전기

-결선 방식의 장,단점 3가지씩


<장점>

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1대가 고장이나면 2대로 V결선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 변압기의 상전류가 선전류의 1/3이 되어 대전류에 적합하다

<단점>

중성점을 접지할 수가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각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Y-Y 결선 방식의 장,단점 3가지씩


<장점>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으므로 이상전압 방지에 유리하다.

1, 2차 전압 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이 되기 때문에 절연이 쉽다.

<단점>

중성점을 접지하면 제 3고조파 전류가 흘러 통신선에 유도 장해 발생 우려가 있다.

유도 기전력의 파형은 제 3 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부하의 불평형에 의하여 중성점 전위가 변동하여 3상 전압이 불평형을 일으키므로 송, 배전 개통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Y-Y-3권선 변압기로 사용

안정권선 의 용도

3고조파 제거

조상 설비 설치

소내(변전소내) 전력 공급용

-Y 결선의 장,단점 3가지씩


<장점>

2차 권선의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1/3 이므로 절연이 유리하다

1차가 결선으로 여자전류의 통로가 있으므로 제3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Y결선으로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다

<단점>

1차와 2차 선간 전압 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

중성점 접지로 인한 유도 장해를 초래한다

V-V 결선의 장,단점


<장점>

1대 고장시에도 3상 공급이 가능하다

설치가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다.

<단점>

이용률이 86.6%로 저하된다.

출력이 57.74%로 저하된다.

 

차단기 갑호, 을호, 고속도용


갑호

O-1-CO-3-CO

을호

CO-15-CO

고속도용

O-t(임의의 시간)- CO-1-CO

이상으로 전기기사 필기정리, 전기기사 실기 정리 및 전기직 실무면접 정리 포스팅을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