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축전지를 방전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하여 두면 극판의 황산납이 회백색으로 변하고 내부저항이 대단히 증가하여 충전시 전해액의 온도상승이 크고 황산의 비중상승이 낮으며 가스 발생이 심하게 되며 전지의 용량이 감퇴하고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
① 불충분한 충전을 반복하는 경우
② 방전전류가 대단히 큰 경우
③ 방전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① 부하의 크기와 성질
② 예정 정전 시간
③ 순시 최대방전전류의 세기
④ 제어케이블에 의한 전압강하
⑤ 경년에 의한 용량 감소
⑥ 온도변화에 의한 용량 보정
① 묽은황산의 농도는 표준이고 액면이 저하하여 극판이 노출돼 있다.조치는? - 증류수(전해액)을 보충한다
② 충전시 발생하는 가스는? - 수소가스
③ 가스발생시 주의사항은?
환기에 주의하고 화기에 조심할 것
④ 충전이 부족할 때 극판에 발생하는 현상
설페이션(Sulfation) 현상
⑤ 연축전지 설비의 초기에 단전지 전압의 비중이 저하되고 전압계가 역전하였다.이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 축전지의 역접속
⑥ 충전장치 고장,과충전,액면저하로 인한 극판 노출,교류분 전류의 유입과대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현상? -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상승 또는 소손
⑦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 부동충전방식
⑧ (초기고장)전 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한 경우
⑨ (우발고장)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 충전전압이 높다.실온이 높다.
⑪ 전 셀의 비중이 높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액면 저하로 극판 노출)
전해액 변색,충전하지 않고 그냥 두어도 다량으로 가스가 발생한다로 추정할 수 있는 원인?
전해액 불순물의 혼입
⑫부동충전시 전압 구하는 문항
(1) 변전소에 200[Ah]의 연축전지가 55개 설치시
- 부동충전전압은 2.15[V/Cell]이므로,
V = 2.15 x 55 = 118.25 [V]
(2) 무정전 전원 정전시 사용하고 예비전원으로 200[Ah]의 연축전지가 100개 설치시
부동충전전압은 2.18[V/Cell]이므로,
V = 2.18 x 100 = 218 [V]
---------------------------------------------------
즉, 수변전설비 (CS형,클래드식) 2.15 [V/Cell]
UPS 장비등 (HS형,페이스트식) 2.18 [V/Cell]
---------------------------------------------------
① 전등효율: 전체소비 전력에 대한 전체 발산광속의 비율
② 발광효율: 방사속에 대한 광속의 비율
① 회전부의 편심
② 베어링의 불평등
③ 회전자의 정적 동적 불평형
④ 상대기기와의 연결불량 및 설치불량
⑤ 에어갭의 회전 시 변동
① 기계적 소음- 베어링의 소음
② 전자적 소음- 고정자, 회전자에 작용하는 전자기적 기전력에의한 소음
③ 통풍 소음- 냉각팬, 회전자 덕트 등에 의한 소음
① 단일 접지 계통
선로-지락점-대지-접지점-중성점-선로
② 중성점 접지 계통
선로-지락점-대지-접지점-중성선-선로
③ 다중 접지 계통
선로-지락점-대지-다중 접지극의 접지점-중성선-선로
① 여자 돌입 전류
② 고조파
③ 계전기 감도저하
④ 변류기의 포화
① 설계 설명서
② 설계 변경 도면
③ 설계 변경 개요도
④ 계산서
⑤ 수량 산출 조서
-플래시 오버 사고로서 발생시 신속하게 고장 구간을 차단하고 사고점의 아크를 소멸시킨후 즉시 재투입이 가능한 개폐기
방크기 |
개수 |
5cm^2 미만 |
1 |
5~10 미만 |
2 |
10~15 미만 |
3 |
15~20 미만 |
3 |
부엌 |
2 |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를 검출하여 지락 계기에 공급
① 피더 버스덕트
② 익스펜션 버스덕트
③ 탭붙이 버스덕트
④ 트랜스 포지션 버스덕트
⑤ 플러그인 버스덕트
<장점>
① 친환경 에너지 이다.
② 자원이 반영구적이다.
③ 규모에 관계없이 발전 효율이 일정하다.
④ 확산광(산란광)도 이용할 수 있다.
⑤ 태양이 비추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설치 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하다.
<단점>
① 전력생산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된다
② 설치장소가 한정적이고 시스템비용이 고가이다
③ 초기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다
④ 에너지 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이 필요하다
6600, 6300, 5700
① 과부족전압 계전기
② 결상 계전기
<장점>
①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 1대가 고장이나면 2대로 V결선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각 변압기의 상전류가 선전류의 1/√3이 되어 대전류에 적합하다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가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각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장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으므로 이상전압 방지에 유리하다.
② 1차, 2차 전압 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③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이 되기 때문에 절연이 쉽다.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하면 제 3고조파 전류가 흘러 통신선에 유도 장해 발생 우려가 있다.
② 유도 기전력의 파형은 제 3 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③ 부하의 불평형에 의하여 중성점 전위가 변동하여 3상 전압이 불평형을 일으키므로 송, 배전 개통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Y-Y-△ 의 3권선 변압기로 사용
안정권선 △ 의 용도
① 제 3고조파 제거
② 조상 설비 설치
③ 소내(변전소내) 전력 공급용
<장점>
① 2차 권선의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1/√3 이므로 절연이 유리하다
② 1차가 △결선으로 여자전류의 통로가 있으므로 제3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③ Y결선으로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다
<단점>
① 1차와 2차 선간 전압 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②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
③ 중성점 접지로 인한 유도 장해를 초래한다
<장점>
① 1대 고장시에도 3상 공급이 가능하다
② 설치가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다.
<단점>
① 이용률이 86.6%로 저하된다.
② 출력이 57.74%로 저하된다.
① 갑호
O-1분-CO-3분-CO
② 을호
CO-15초-CO
③ 고속도용
O-t초(임의의 시간)- CO-1분-CO
이상으로 전기기사 필기정리, 전기기사 실기 정리 및 전기직 실무면접 정리 포스팅을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11탄!! (0) | 2021.01.01 |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10탄!! (0) | 2020.12.31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8탄!! (0) | 2020.12.29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7탄!! (0) | 2020.12.28 |
[전기] 전기기사 필기/실기, 전기직 면접 전공지식 6탄!!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