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안전방폭에 대해 알아보려고합니다!! 방폭은 폭발의 방지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이어가겠습니다!! 방폭장소의 구분 및 방폭에 관련된 설계에 따라 하는겁니다!! 최대안전틈새 및 최고표면온도 및 방폭구조에 대한 설명과 방폭에 적용되는 밸브의 특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방폭이란:
1. 점화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
2. 점화원이 위험분위기와 만나지 않도록 하는 것
*폭발위험장소(가스)
0종장소 – 정상상태에서 위험분위기가 장시간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장소 -> 본질안전 방폭구조 (ia)
1종장소 – 정상상태에서 위험분위기가 주기적으로 생성될 우려 -> 본질안전(ib), 내압(d), 압력(p), 충전(q), 유입(o), 안전증(e), 몰드(m) 방폭구조
2종장소 – 이상상태 하에서 위험분위기가 단시간 생성될 우려 -> 비점화 방폭구조
그룹 I : 폭발성 메탄가스 위험분위기에서 사용되는 광산용 전기기기
그룹 II : 잠재적 폭발성 위험분위기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
분류 |
ⅡA |
ⅡB |
ⅡC |
최대안전틈새 |
0.9mm 이상 |
0.5mm 초과 0.9mm 미만 |
0.5mm 이하 |
최고표면온도의 범위(℃) |
온도등급 |
최고표면온도의 범위(℃) |
온도등급 |
300초과 450이하 |
T1 |
100초과 135이하 |
T4 |
200초과 300이하 |
T2 |
85초과 100이하 |
T5 |
135초과 200이하 |
T3 |
85 이하 |
T6 |
밸브의 유형
Safety valve: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급격히 압력방출 (스팀,공기,가스), 밖으로 배출
Relief valve:압력증가에 따라 서서히 개방(액체), 탱크내로 순환
방폭구조의 종류
내압방폭구조: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밀폐구조인 용기에 넣고 만일 외부의 폭발성 가스가 내부로 침입해서 폭발을 하더라도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어 파손되지 않는 구조
유입방폭구조: 무기질의 Oil에 잠기게 함으로서 폭발 가능한 환경을 제거한 구조
압력방폭구조: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용기 내에 넣은 후 보호기체를 용기 내부에 주입하여 내부의 압력을 유지
안전증방폭구조: 기계적, 전기적 구조상 또는 온도상승에 대해서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킨 구조
본질안전방폭구조: 가연성 가스가 점화되지 않는 것이 점화시험으로 확인된 구조
이상으로 안전 전문지식 안전방폭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사항은 반도체 관련 회사의 면접에서 한 번 질문을 들은 적이 있는 내용입니다!! 이상으로 안전방폭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공소개 및 추천!! 안전공학과란?? (0) | 2020.07.11 |
---|---|
[건설 안전]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 법령 및 기준과 규칙!! (0) | 2020.07.03 |
안전 전문지식!! 재해예방의 4원칙!! (0) | 2020.06.06 |
유해위험물질의 안전대책은?? 물질의 종류에 따른 대책 (0) | 2020.06.05 |
안전전문지식 Fail Safe와 Fool Proof에 대해!!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