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전기안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전류 동작형 누전차단기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그 특징은 무엇인지 상세하고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누전차단기는 누전이 일어날 때 그 이상을 감지하여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지락차단기의 일종으로서, 그중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의 내부는 누전검출부, 영상변류기, 차단기구로 구성되어 있어요!!!!@@@@
회로가 정상상태인 경우 영상변류기를 통과하는 왕로전류와 귀로전류가 같은 값으로 이 전류에 의해 영상변류기의 철심에 발생된 자속은 서로 상쇄되어 영상변류기의 2차측에 출력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누전차단기로부터 부하측에 누전사고가 발생하면 누설전류가 대지를 통하여 전원으로 되돌아가게 되므로 영상변류기를 통과하는 왕로전류와 귀로전류에는 누설전류만큼의 차이가 생기겠죠??? . 따라서 철심 중에는 누설전류에 상당하는 자속이 발생하고 영상변류기의 2차측에는 누설전류에 비례하는 출력이 나타나게 되고, 이 출력에 의하여 누전차단기구를 동작시키는 과정, 즉 누전 trip 방식은 영상변류기의 출력을 그대로 사용하는 순전자식과 영상변류기의 출력을 반도체 증폭기에 의해 증폭하여 사용하는 전자식으로 대별됩니다@@@
감전보호를 할 때 정격감도전류와 작동시간을 고려한 누전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데 한번 보실까요??
구분 |
정격감도전류(mA) |
동작시간 |
|
고감도형 |
고속형 |
6, 10, 15, 3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
시연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2초 이내 |
||
반한시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2초를 초과하고 1초 이내 정격감도전류의 1.4배의 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0.5이내 정격감도전류의 4.4배에서 0.05초 이내 |
||
중감도형 |
고속형 |
50, 100, 20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
시연형 |
300, 500, 100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2초 이내 |
|
저감도형 |
1000~20000 |
|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KSC 4613)
정격감도 전류 30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내 욕실 등의 콘센트 15mA이하 0.03초 이내(판단기준170초) ⟹여기에서 0.03초는 일본에서 만든 기준이다 우리나라는 220V를 사용하는데 적당하지 않습니다..
저희의 산업안전보건법 및 안전에 대한 사항은 거의 다 일본의 규정을 그대로 가져왔는데요!!! 일본의 규정을 그대로 가져와서 적용하고는 있지만 꾸준히 연구하고 발전시켜서 저희만의 규정을 만드는게 저희 안전관리자의 최종 목표라고생각합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TW (Permit to work) // 작업 허가서 란?? (0) | 2020.02.14 |
---|---|
접지란?? 감전사고를 막는 방법!! 접지공사 주의사항 (0) | 2020.02.14 |
건설업 공사금액별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 (0) | 2020.02.13 |
인체저항, 통전경로, 안전전압 등에 대해 (0) | 2020.02.12 |
고압전로 및 전동기의 절연사항 (0) | 202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