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토목직무 전공면접에 대한 지식 모음집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토목직이 공기업이나 사기업도 많이 뽑는데... 면접을 뭘 공부해야할지 ?? 신입이면 전공에서 무슨 내용을 알아야할지가 조금 막막하죠?? 그래서 오늘 준비한 것은 토목직무 전공면접 질문 및 지식 모음집입니다.
취성파괴는 압축력에 의해서 파괴가 일어난 것, 과대철근보
연성파괴는 인장력에 의해서 파괴가 일어나는 것, 과소철근보, 설계는 과소철근보로 설계해야 한다.
준비작업 계량 시
–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쳐 현장배합에 따라 계량한다.
- 콘크리트의 종류, 비비기 설비의 성능, 운반방법, 공사의 종류, 콘크리트 타설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비비기 작업
– 비비기 작업에서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 되어서도 안 되고 시간을 미달해서도 안 된다.
타설 중 – 타설 순서 : 1. 경사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타설한다. 2. 처짐에 의한 침하가 큰 곳부터 타설한다.
양생 중 – 콘크리트의 양생 시 온도와 공기 중의 수분 양에 의하여 균열이나 변형이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별 콘크리트의 경화상태를 체크하여 양생 중 발생 할 수 있는 재료분리와 거푸집 변형에 유의 하며 관리하여야 합니다.
비탈면 보강공법 : 콘크리트 블록 공, 식생(잔디 뿌리 사용) 및 암반일 경우 어스앵커 공법과 소일네일링 공법 및 록 볼트를 이용하여 비탈면을 보강한다.
어스앵커 : 앵커의 정착대상 지반을 사층, 낙 층, 롬 층 등으로 하여 앵커재로 PC강재를 사용하여 긴장력을 가하여 구조물을 정착시킨다.
소일네일링 : 비탈면에 강봉을 일정한 간격으로 박아 시멘트 풀로 정착하여 모르타르를 뿜어 붙이는 공법.
터파기 공법 : 개착공법 (open cut), 아일랜드 컷, 트렌치 컷, Top down(역타 공법) 개착공법은 대형 부지에서 사용하여 자유 면을 갖도록 하는 공법, 복잡한 시가지에서는 부적절하다. 역타는 위아래 동시 시공가능하고 지하의 벽체 및 기둥을 먼저 시공하고 위아래 보를 시공한다.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아일랜드 컷은 가운데 부분을 먼저 파내어 기초 콘크리트를 쳐서 굳힌 다음 나머지 주변을 굴착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트렌치 컷은 반대로 모서리 둘레 부분을 먼저 파내는 방식입니다.
유토곡선 : 성토/절토를 종합하여 만든 곡선입니다. 토량을 누계하여 만든 토적곡선이고 하향구간은 절토부, 상향 부분은 성토부입니다. 유토곡선을 통하여 운반 거리와 운반 기계를 구하고, 시공 방법을 결정, 토량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사운딩 시험 : 현장에서 Rod 선반에 정착된 저항체를 땅 속에 관입시켜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 정도로 지반 상태를 파악한다.
동적 사운딩 : 표준관입시험 (N), 동적 콘 관입 시험. 정적 사운딩 : 점성토에 쓰는 Vane 시험이 있다.
케이슨 기초 시공법 : Open 케이슨(케이슨을 지반에 얹히고 굴착하여 침하), 공기 케이슨(밑에 작업실을 놓고 수시로 관찰하며 인력굴착), Box 케이슨(육상에서 제작하여 해상에 띄어 침하)이 있다.
연약지반 보강공법 : 점성토(프리로딩 공법, 페이퍼 드레인, 샌드 드레인, 생석회 말뚝공법), 사질토(모래다짐 말뚝공법, Vibro flotation, 그라우팅, 약액주입공법, 동다짐 공법)
포장설계에 적용되는 토질시험 : 평판재하시험(지내력, 지반반력계수, 강성포장의 두께 결정) > Scale effect를 고려해야 한다. 사질토는 지지력 비례, 점성토는 침하량 비례. C B R 시험(아스팔트 포장의 두께 산정)
액화현상 : 느슨하고 포화 사질토에 충격이 가해지면 체적 수축, 간극수압 증가, 유효응력 0이 되어 강도저하.
Dilatancy : 전단변형에 따른 체적변화. 체적 증가 시 +
사질토의 구조 : 단립(강도가 크다), 봉소. 점성토의 구조 : 이산, 면모(강도가 크다)
감사합니다
[건설] 토목직무 전공면접 지식&질문 모음집 2탄 (0) | 2021.09.10 |
---|---|
[건설] 토목직무 전공면접 지식&질문 모음집 1탄 (0) | 2021.09.09 |
[건설] 내가 탈건한 이유는?? 건설업에서 도망친 이유!! (6) | 2021.09.07 |
[건설]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0) | 2020.12.11 |
[건설] 건설산업의 사회적 역할 및 산업적 특성은??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