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을 공부 중인 Dizi입니다!!! 오늘은 전에 설명드린 위험성 평가에 대해서 좀 더 세부적으로 하나하나 살펴보려고 해요!!! 오늘 소개해드릴 위험성 평가는 Checklist(체크리스트), What if (사고예상질문분석) , FMECA (이상위험도 분석기법, 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이에요!!@@@ 위험성 평가는 기법이 너무 다양하고 어느 기법을 어디에 사용하냐에 따라 더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죠!! 안전관리자 뿐만아니라 시공이나 근로자 들도 이해하기 쉬운 위험성 평가의 기법이 있는 반면,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할 수 없는 위험성 평가도 있어요!!! 한 번 상세하게 알아보시죠!!!
먼저 체크리스트 입니다!!!
■ 체크리스트 (Checklisk)
체크리스트는 공정 및 설비의 오류, 결함상태, 위험상황 등을 목록화한 형태로 작성하여 경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위험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 프로젝트의 개발을 조정, 확인하기 위하여 기준대조표를 활용
- 기준, 절차에 대한 확인의 기능을 가지나, 작성자의 경험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됨.
- 일반적인 위험요소들의 확인
- 일의 진행이 기준절차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
- 쉬운 적용과 빠른 결과의 도출
- 점검 수준의 조절 및 변경 가능
- 위험평가의 최소 수준, 누락 및 형식적 수행 우려
사실 체크리스트를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장소는 화장실이에요!! 백화점이나 지하철 화장실에 가면 한 구석에 체크리스트가 있는 곳이 많아요!! 이 때 체크리스트는 했나 안했나..?? 그 유무를 확인하기위해 사용하는데 이것도 위험성을 체크하고 위험성이 있다면 그것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간단한 위험성평가 중에 하나입니다!!!
다음은 사고예상질문 분석인 What if 기법입니다!@@@
■ 사고예상질문분석 (What-if)
: 원치 않는 사건을‘what if’로 시작되는 질문을 사용하여 공정에 잠재하는 사고를 확인하여 그 위험과 결과 및 위험을 줄이는 방법
- 정확하게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특별한 상황에 맞추어 기본 개념을 수정해 가면서 수행
- 공정의 개발단계, 초기 Start-up
- 쉬운 적용과 빠른 결과의 도출
- 운용의 탄력성
- 비체계적/ 분석자의 경험에 좌우
어떠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을지 계속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위험성 평가 기법 중 하나입니다!!! 놀이공원을 가서 만약 우리가 떨어진다면.... 이라는 생각과 비슷해요!! 그러한 생각으로 어떠한 안전조치를 설치하고, Safety measure을 선택해 위험성을 낮추는 것입니다!!@@
: 부품, 장치, 설비 및 시스템의 고장 또는 기능상실에 따른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여 치명도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잠재된 고장형태에 따른 피해 결과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개선조치를 도출하는 절차
- 단일 사고로 발생 가능한 최악의 경우를 평가
- 복합적 설비 결함인 경우는 부적절
- 작업자 실수 불포함
(1) 제 1단계 : 고장형태에 따른 영향분석
: 각각의 잠재된 고장형태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한다.
(2) 제 2단계 : 치명도 분석
: 고장형태에 따른 영향분석에 따라 확인된 주요 고장에 대하여 피해와 고장발생율을 적용하여 치명도를 분석한다.
(1) 치명도 분석표를 작성할 때 아래 항목은 고장에 따른 영향분석표의 내용을 활용한다.
식별번호/명칭/기능/고장형태 및 원인
(2)고장형태별 고장율
: 고장형태에 따른 고장율은 고장의 발생율을 기재한다.
(3) 고장파급확률(β)
: 고장에 의하여 고장영향을 파급시킬 확률을 기재한다.
(4) 고장형태 비율(α)
: 고장형태 비율은 특정 부품 또는 요소가 특정한 형태의 고장을 일으킬 확률을 말한다. 만일 특정 부품 또는 요소에 대한 잠재적 고장형태가 모두 기록된다면 α 값의 합계는 1이 된다.
(5) 부속품 고장율(λp)
: 부속품 고장율(λp)을 기재한다.
(6) 운전시간(t)
: 운전시간은 시간 또는 운전횟수로 기재한다.
(7) 고장형태별 치명도(Cm)는 고장파급 확률(β), 고장형태 비율(α), 부속품 고장율(λp), 운전시간(t)을 곱하여 구한다.
: Cm = β · α · λp · t
(8) 시스템의 치명도(Cr)
: 시스템의 특정한 고장형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고장형태에 따라 발생한다. 설비 전체 시스템의 치명도(Cr)는 부품의 고장형태별 치명도(Cm)의 합으로 표시한다.
(9) 위험등급
: 시스템의 고장발생 빈도와 치명도를 조합하여 위험등급을 결정
이와같이 위험성 평가 3가지 기법에 대해 설명드렸어요!! 각 기법마다 장단점과 특징이 있으니 자신이 일하는 곳이나 적용하고자 하는 사업장에 적합한 기법을 골라서 적용하면 됩니다!!! 다음에 위험성 평가 기법 소개 2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험성 평가 종류 3탄!! FTA, ETA, LOPA (0) | 2020.02.22 |
---|---|
위험성 평가 종류 2탄!! FMEA, JSA , KRAS (0) | 2020.02.22 |
해외 HSE 안전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0) | 2020.02.20 |
위험성 평가란??? (0) | 2020.02.19 |
안전관리자 면접 질문 리스트 3탄!!! (4) | 2020.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