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안전을 공부하는 Dizi입니다!! 최근 화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소방기술사, 산업안전기사 등을 취득할 때 소화기 및 소화약제에 대한 문제가 나오고 있어요!! 그래서 한번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한번 시작해 볼까요??? 산업안전보건공단에 나온 내용을 보고 한 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상온에서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로 질식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연물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차단합니다@@
•액화이산화탄소의 경우, 기화되면서 주위로부터 많은 열을 흡수하는 냉각작용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비중이 1.53으로 공기 보다 무거워 가연물의 포면을 불연층으로 형성하거나 둘러싸서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시켜 소화하는 작용을 함.
•수소, 아세틸렌, 일산화탄소 등 특수한 물질을 제외한 일반적인 연소물은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15 % 이하로 소화하면 가능하게 합니다.
•고압용기에 액상으로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면 기체로 기화되면서 화재발생장소 주위로부터 많을 열을 흡수하여 가연물을 발화점 이하로 냉각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비중이 1.52로 공기보다 무거워 가연물에 방출하면 가연물 표면뿐 만 아니라 내부의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가연물 주위를 둘러싸 산소 공급을 차단하는 소화작용을 합니다.
추가로 이산화탄소는 질식에 대한 위험과 동상에 대한 위험이 존재합니다!! 업무에 참조하세요!~~
•방제실, 제어실 등 근로자가 상시 근무하는 장소
•소화약제에 의한 질식 또는 인체에 대한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
•전시장 등 다수인이 출입, 통행하는 통로 및 전시실
•이산화탄소와 반응성이 있는 물질(나트륨, 칼륨 등 저장, 취급장소)
가. 외부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농도(300 ~ 350)ppm 또는 (0.03 ~ 0.035)%이다.
나. 사람이 거주하는 내부의 이산화탄소농도 (600 ~ 800)ppm 또는 (0.06~ 0.08)%이다.
다. 실내 이산화탄소농도가 1%이면 사람이 꽉 찬 강당에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으로 일부는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다.
라. 이산화탄소농도가 2% 이상이면 가슴이 답답함을 느끼고 자주 깊은 한숨을 쉰다.
마. 이산화탄소농도가 3%이면 숨 쉬는 속도가 2배가 되고 5%가 되면 4배가 된다.
바. 이산화탄소의 농도 5% 이상부터 직접적으로 독성의 영향을 받는다. 5% 미만에서는 독성을 느끼기보다는 산소가 부족함을 느낀다.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에 노출되거나 장기간에 걸쳐 이산화탄소에 노출되면 두통, 심장박동수의 증가, 어지러움, 피로, 급한 호흡, 시력과 청력의 문제가 발생한다.
사. 더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에 노출되면 몇 분 안에 의식불명이나 생명을 잃게 될 수도 있다.
건설 장비의 주요 사고유형 및 안전점검 사항은? (0) | 2020.03.02 |
---|---|
건설기계란?? 건설기계의 번호 및 필요 면허의 종류!! (0) | 2020.02.26 |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란?? ISO 45001과 OHSAS 18001의 차이! (0) | 2020.02.25 |
화재의 종류 및 소화방법에 대해!!! (0) | 2020.02.24 |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작성항목 및 순서에 대해!! (0) | 202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