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루가 40도

728x90
반응형

행동기반안전 (BBS, Behavior Based Safety)

- BBS의 출현 배경

1. 사회적 배경 (미국의 산재 통계 & 하인리히의 연구)

Heinrich의 연구 결과, 산업 재해 발생 원인의 88%가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10년간 미국의 산업재해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의 76%가 행동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 및 행동에 의한 간접적인 부분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96%가 행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McSween, 2003) 이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안전 관련행동 변화에 직접적으로 초점은 맞춘 행동주의 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접근법이 출현하게 되었다.  (하인리히의 안전문화는 1단계를 만지고, BBS3단계를 만짐.)

우리나라와 같이 안전을 중요시하는 사회 환경(1단계)이 아직 확실히 조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4단계 사고 직전의 3단계인 불안전한 상태와 행동을 안전한 상태와 행동으로 변경 해준다면 1, 2단계의 도미노가 무너져도 3단계가 안 무너지기 때문에 사고 예방이 가능 (하인리히(Heinrich)의 도미노 이론).

2. 이론적 배경

산업안전에 대한 행동주의적 접근법은 응용 행동 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원리를 적용하여 근로자의 사고의 원인이 되는 안전/불안전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불안전 행동의 발생 여부는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 혹은 제시되는 자극(antecedents)행동의 결과(consequence of behavior)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행동의 추후 발생 가능성에는 결과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안전한 행동을 하게 되면 불편함과 늦어지는 작업속도와 같은 부정적이고, 즉각적인 결과가 뒤따르고 이로 인해 안전 행동 발생가능성은 감소된다. 반면, 불안전 행동을 하게 되면 편함과 빠른 작업 처리와 같은 긍정적이고 즉각적인 결과가 뒤따르고 따라서 불안전 행동 발생가능성은 증가된다. 이러한 불안전 행동이 생산성과 목표 달성을 빠르게 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이지는 않지만 종종 관리자들에 의해 불안전 행동이 장려되기도 한다.

 

- BBS?

 BBS는 사고의 원인을 기계 결함이나 안전의식의 결핍에서 찾지 않고, 사고와 연관되는 불안전 행동을 찾아, 안전행동으로 유도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 BBS의 특징과 주요절차

1. BBS의 특징

. 기존의 안전관리 접근법(기술적 접근, 비판)과 달리, 불안전행동의 감소(질책, 비난, 벌금 등)가 아닌 안전행동 증가에 초점을 맞춘 긍정적 방식을 사용.

. 매일 매일의 객관적 관찰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적인 효과 검증 (관찰을 기반으로 행동을 바꾼다.)

 

2. BBS의 주요 절차

BBS 프로그램의 주요 절차를 살펴보면,

. 우선 작업자들의 안전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행동 체크리스트(behavior checklist)를 개발하고,(SOP와 같이태우생각)

. 현장 상황에 적합한 방식으로 근로자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방안(동료관찰, 관리자 관찰 등)을 모색하여 근로자들의 작업행동을 정기적으로(eg, 일일 단위, 주 단위) 관찰 기록하게 한다.

. 이 관찰 자료를 바탕으로 직원들이 참여적으로 안전행동 비율에 대한 목표를 설정(goal-setting)하고,

. 정기적으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여, 설정한 목표에 대한 진척 상황을 알 수 있게 한다.

. 목표가 성취되면 축하나 보상(incentive)을 제공하여 안전행동이 더 증가 혹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근로자들의 행동 변화를 위해 피드백, 목표설정, 인센티브 외에도 훈련(training), 셀프 모니터링(self-monitoring), 칭찬/인정(praise/recognition),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등 다양한 처치 기법들이 사용되어왔다.]

 

- BBS의 효과

 

 

결론부터 말하자면, BBS 프로그램의 효과는 안전문화와 안전분위기 증진이다. 안전문화, 안전분위기 증진을 위해서는 아래의 방안들이 필요하고, 이러한 방안들은 BBS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안전감독강화는 수비적인 방안)

 

1. 경영자들이 안전에 대한 가치를 중요시하고 관리자 및 직원들에게 안전에 대해 강조할 필요가 있다.

2. 근로자들의 안전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관리자들의 안전 리더십(safety leadership)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리자들이 작업 현장에 빈번하게 방문하여 안전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올바른 안전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강화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3. 안전에 대한 의사 결정시 직원들의 참여를 장려하고 지속적인 안전 회의 및 훈련을 통해서 더 안전한 방식으로 작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안전관련 회의에 근로자 대표 참석)

4. 안전 행동에 대한 보상 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불안전 행동과 안전 행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공정하게 평가하여 이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보상을 제공, 안전 행동을 장려하고 불안전 행동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BBS 프로그램은 보통 경영진 혹은 안전관리 책임자에 의해 시작되고, 조직 내 모든 계층의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관리자들과 직원들이 회사에서 안전에 대해 더 강조한다는 것을 지각할 수 있다. 관리자들이 근로자들의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하루에 일정 시간 현장을 돌아보며 관찰을 실시해야 하고, 관찰을 실시하면서 안전과 관련된 대화를 더 많이 하게 되며, 올바르게 작업을 하고 있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코멘트(comment)를 하게 된다. 또한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면서, 안전행동을 더 잘 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모색하고 근로자들이 목표를 직접 설정하게 하여 직원들의 안전 프로그램의 참여를 장려할 수 있다. 또한 안전행동에 대한 목표 달성 시 이와 유관한 보상을 제공하면서 안전행동을 더 장려할 수 있다. 즉 이러한 BBS 프로그램의 절차들이 안전 분위기와 안전문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참고자료]

Bradley Curve 모형 (4단계 안전문화 성숙수준 모형) : 1995년 듀폰이 안전을 포함한 리스크 관리 발전을 4단계로 구분한 모형.

1. 1단계(Reactive): 조직 구성원의 본능에 의해 안전 리스크가 관리되는 수준

2. 2단계(Dependent): 안전 법규나 안전관련 규정 등 전반적인 안전관리가 관리감독자(supervisor)에 의존하는 수준

3. 3단계(Self): 조직 구성원 스스로가 본인의 안전을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으로 책임지는 수준

4. 4단계(Interdependent): 팀이 중심이 되어 팀원이 팀 구성원 서로의 안전을 챙겨주는 단계

[안전 리스크 문화의 완성단계]

안전 리스크 문화의 완성단계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