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안전감시단이라는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직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건설현장에서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안전팀에 안전감시단이라는 인원들이 있다. 이분들은 직접 회사 소속은 아닌데 회사 직영 업체 안전팀과 함께 업무를 진행하고, 지휘를 받아 일한다. 과연 이들은 누구일까…
아래 기사를 보고 제가 느낀점을 적어보겠습니다.
========= 안전감시단 관련 기사===========
건설현장 안전감시단 불법파견 ‘만연’ … 고용부는 ‘방치’
“매일 원청 지시받아 일한다”
시공부서에서 직접해야 효과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파견법) 제5조 제3항에 따르면 건설공사현장에서 이뤄지는 업무는 근로자 파견사업을 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상당수 건설현장에서 안전감시단이란 이름의 불법파견이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안전감시단은 도급형식을 띠고 있지만, 실제로는 원청의 직접 지시를 받는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강원도 한 토목현장 원청 소속 안전팀장 ㄱ씨는 22일 “안전감시단은 업무나 장소, 방법에 대해 매일 안전부서(원청)의 지시를 받아 일한다”며 “원청의 구체적인 지시를 받아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는 단순한 감시만을 할 뿐이지 재량을 가지고 업무를 하는 그런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전감시단이 건설업에 많은 이유는 원청이 안전관리자를 채용하는 것보다 외부업체를 활용하는 것이 손쉽게 값싼 인력을 구하고 책임도 회피할 수 있어서다. 건설공사는 발주자에 의해 안전보건관리비가 의무적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공사를 수주한 원청업체는 안전보건관리비로 안전감시단을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정진우 교수는 “안전관리는 원청이든 하청이든 시공부서에서 직접 하는 게 효과적”이라며 “하지만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를 시공 쪽에 맡기는 정석을 택하지 않고 안전감시단이라는 편법에 의존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더 문제는 안전감시단 대부분이 전문성이 없고, 원청 소속이 아니다 보니 하청노동자들에 영향력도 적어 안전확보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 포털사이트에서 ‘안전감시단’이란 키워드로 검색하면 쉽게 실상을 알 수 있다.
지난 3월 2일 ‘모 대기업 안전감시단에서 연락이 왔는데, 정확히 안전감시단이 뭔지 알려주세요’라는 질문이 올라왔다. 건축기사라고 밝힌 답변자는 ‘단순작업이지만 안전관리라는 학문을 알아야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렇다고 책 사서 공부할 필요는 없다. 현장 안전관리자(원청 직원)의 지시에 따라서 그날 일을 하면 된다’고 답했다.
고용부 산업안전과 한 관계자는 “실태를 파악해 지방관서에서 감독하고 있다”라면서도 본부에서 지방관서에 개선지도를 하도록 했는지에 대해선 답하지 못했다.
정진우 교수는 “정부에서 안전감시단을 직영으로 채용하라고 지도하거나 불법파견은 인정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면 많은 건설현장은 안전관리자를 증원하거나 안전감시단을 직영으로 채용할 것”이라며 “고용부는 이런 실상도 모르고 개선의지도 없다 보니, 아무런 지도나 방침이 없어 불법파견이 만연되어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사 끝==========
위에서 말씀하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진우 교수에 말에 적극 동의합니다. 안전관리는 시공부서에서 이뤄지는게 효과적인데 사실상 시공부서가 거의 모든 업무를 다 하다보니.. 공무도 시공, 스케줄도 시공, 안전도 시공, 품질도 시공, 견적도 시공,…. 이렇게 되다보면 시공에게 모든 업무가 가중된다.
안전감시단, 가끔 안전패트롤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현장을 돌아다니며 지적사항을 발견하고 서류가 너무 많은 안전팀을 도와 현장 상주 위주의 관리를 한다. 이들의 임금은 저렴하지도 않다. 원청에서 업체를 골라서 안전감시단을 고용하는 업체에게 돈을 주고 업체가 이들에게 임금을 준다.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큰 플랜트 현장 같은 경우 이를 사용하는 현장이 많다. 안전관리자는 한정되어있고 전체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
또 현장에서 안전관리자로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서류업무에 치여서 다른 업무를 보기도 힘듭니다. 그래서 일과시간에는 현장을 보고, 남들 다 퇴근하면 서류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안전감시단은 사실 엄청 경력있고 능력이 좋으신분들도 많지만 대부분은 경험을 쌓기 위한 사람이나 전문성이 없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이들에게 현장의 점검이나 지적을 주는건 안전관리의 공백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 이면에 숨어있는 제도적 문제를 봐야한다. 위의 기사에서 정진우 교수가 지적했던 사항이 해결되지 않으면 현장의 안전문화나 관리는 변할 수 없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안전] 사망사고 발생 건설사 건설현장 특별점검 강화!! (0) | 2020.10.29 |
---|---|
[안전] 건설업 Smart Safety, 4차산업혁명 스마트 안전 용품 소개 1탄 (0) | 2020.10.28 |
[안전] 화재ᆞ폭발 사고 예방을 위한 ‘국가보조 지원사업’!! (0) | 2020.10.26 |
[안전] 건설안전특별법 논란 !! 건설안전특별법 문제점은?? (0) | 2020.10.18 |
건설현장 스카이 !! 렌탈 모델별 제원은???? (0) | 2020.10.17 |